이세계를 탐구하는
무라카미 하루키의 작품

분리되지 않은 별세계
무라카미 하루키의 이세계물
Edited by

‘이세계물’이란 서브컬쳐 장르가 있습니다. 이세계(異世界)란 글자 뜻 그대로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세계가 아닌 다른 곳을 뜻하는데요, 이세계물은 다른 차원의 장소를 배경으로 하는 미디어 물을 일컫습니다. 사실 ‘다른 장소로의 이동’이란 장치는 장르를 막론하고 플롯을 뒤트는 데에 아주 효과적인 요소였습니다. 특히 매니아 층이 탄탄한 일본의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의 작품에서 유용하게 쓰이고 있죠. 하루키와 이세계. 관계가 없어보이는 두 요소를 바탕으로 하루키의 작품 세계를 살펴봤습니다.


하나의 장르로 자리 잡은 이세계

‘이세계’는 본래 있던 말은 아니고, 2010년대 일본에서 이세계 장르가 유행하면서, 번역체로 사용되던 것이 굳어져 장르로 자리 잡은 것입니다. 익숙한 용어로는 판타지물의 흔히 쓰이는 이계(Another World), 우리말 사전에서 유사한 단어로는 별세계(別世界, otherworld)가 있습니다.

재벌집 막내아들 송중기 포스터
이미지 출처: JTBC

복잡한 장르명의 유래에서 알 수 있듯, 이세계물 소수만이 향유하던 장르였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하나의 키워드로 자리 잡은 것 같은데요, 작년 말 화제의 드라마인 ‘재벌집 막내아들’도 이세계 장르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드라마 원작인 웹툰을 비롯해 여러 콘텐츠 플랫폼에도 다양한 이세계 작품들이 연재되고 있습니다.

이세계물과 비슷한 종류의 장르들, 예를 들어 스페이스 오페라 또는 판타지물과 이세계물을 구분하는 요소는 ‘전이’입니다. 현 세계와 이세계를 넘나드는 방법은 환생을 하거나, 단절된 방식으로 옮겨가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앞서 언급한 ‘재벌집 막내아들’은 ‘환생’으로 주인공을 이세계로 전이시켰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루키의 이세계물

하루키의 작품들은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를 과감하게 넘나듭니다. 그런 점에서 그의 작품들은 ‘이세계물’의 문법에 충실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소설 속 인물들은 자신이 체감하고 있던 층위의 세계가 아닌 다른 곳을 탐구하게 되는데요, 감정적이건, 물리적이건 자신의 상태가 이전과는 달라졌다는 것을 체감하게 되죠.

재즈 음악을 듣거나, 익숙한 음식을 만들어 먹거나, 책을 읽는 등 자신이 하던 일상적인 행동을 하면서 현재를 실감하려고 합니다만, 그전과는 ‘무엇인가’ 달라졌다는 것을 느낍니다. ‘무엇인가’ 위에 강조점을 넣어야 할 것 같지 않나요?

『기사단장 죽이기』
이미지 출처: 문학동네
『1Q84』
이미지 출처: 문학동네
『태엽 감는 새』
이미지 출처: 민음사

때로는 물리적으로 공간을 뒤바뀌어 버리기도 합니다. 『기사단장 죽이기』의 돌무덤, 『태엽 감는 새』의 우물 등의 장소들은 인물을 아예 다른 세계로 인도합니다. 그 공간을 통과하면 비현실적인 일들이 벌어지는 이세계가 나타나죠. 『1Q84』는 세계관 자체가 이미 초현실적인 ‘1Q84’입니다.

무라카미 하루키는 자신의 소설 속에 이세계를 두서없이 펼칩니다. 물론 오늘날의 이세계물처럼 주인공은 엄청난 능력을 가지고 있지도, 매력적인 히로인과의 낭만적인 로맨스가 나타나진 않습니다. 하지만 일상생활에 스며들듯이, 갑작스럽게 ‘비일상적인’ 일들이 하나둘 발생하면서, 주인공들은 천천히 이세계로 전이됩니다. 하루키의 이세계물은 일상이 비일상이 되는 순간, 그 미스터리한 지점을 집요하게 파헤치는 형태로 나타납니다.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 1
이미지 출처: 민음사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 2
이미지 출처: 민음사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는 하루키의 작품 중에서도 장르물적인 성격이 가장 돋보이는 소설입니다. 소설 제목처럼 작품은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 두 개의 세계가 병치 되어 전개되는데요. 『하드보일드 원더랜드』는 미래 SF, 『세계의 끝』은 중세 도시풍의 장소로 묘사됩니다.

그의 최근 작품들이 일상과 비일상의 경계를 허물었다면, 이 작품은 독립된 두 세계를 구분해서 전개하고 있습니다. 오늘날의 이세계물과 가장 장르적으로 가깝다고 할 수 있는데요. 전이의 양상은 ‘무의식’의 방법으로 나타납니다.

『세계의 끝』은 현실과 분리된 독자적인 공간이면서 『하드보일드 원더랜드』 주인공의 무의식이기도 합니다. 평행세계처럼 독립적인 세계는 결말부에 이르러서는 하나의 이야기로 합치되는데요. 결국 ‘영혼과 내면’에 대한 이야기로 마무리됩니다.

‘세계’에 대해 직접적으로 언급하고, 구조적으로도 ‘이세계’의 형식을 띠고 있는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는 하루키식 이세계물의 원형이자, 그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이세계의 의미를 명확히 제시한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그가 그린 이세계는 결국 ‘영혼’과 ‘내면’의 문제가 발생하는 곳이죠.


일상에 가장 가까운 이세계

앞서 ‘이세계’와 유사한 단어로는 ‘별세계’를 소개했는데요, 별세계에는 ‘저승’이란 의미도 있습니다. 어쩌면 인간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가장 가까운 이세계이자, 결코 감각할 수 없는 곳이기도 합니다. 일상이 가장 낯설게 느껴지는 순간은 늘상 있던 것이 ‘상실’되었을 때일 것입니다. 그리고 죽음은 누군가의 부재를 온전히 받아들여야 하는 필연적인 과정입니다.

『렉싱턴의 유령』
이미지 출처: 문학사상

하루키의 단편소설 『렉싱턴의 유령』에 그의 저승관이 잘 나타납니다. 화자가 위치한 렉싱턴 대저택의 2층은 현실 세계를, 1층은 저승을 의미하는데, ‘꿈’을 매개로 이승과 저승이 한 공간에 현현합니다. 삶과 죽음은 유리될 수 없고, 그것을 지각할 때 인간의 내면은 ‘다른 세계’로 전이되는 것이죠.

하루키의 작품에서 ‘이세계’는 ‘상실’의 다른 말입니다. 있던 것이 없어지는 것, 상실은 익숙한 것이 내가 알지 못하는 영역으로 옮겨가는 전이 그 자체입니다. 누구든지 죽음과 가까운 상실을 경험하면, 그전과는 다른 감각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밖에 없습니다. ‘무엇인가’ 달라지는 것이죠.

‘무엇인가’는 결국 지극히 개인적인, ‘영혼’과 ‘내면’의 문제입니다. 누구도 대신해 줄 수 없는 형벌과도 같습니다. 비일상적인 상황에서 온전히 내면을 직시해 영혼의 상처를 더듬는 것. 상실의 감정을 온전히 느끼는 그 모든 과정이 ‘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unsplash

이세계물 속 주인공들은 다른 세계에서 자신의 욕망을 실현하거나 해소합니다. ‘재벌집 막내아들’의 윤현우가 진도준으로 환생한 후 복수를 꿈꾸는 것처럼요. 그런 점에서 이세계물은 상실과 회복의 서사에 충실한 장르입니다.

하루키의 이세계물은 냉소적입니다. 속 시원하게 회복되지도, 인물의 상황이 드라마틱 하게 바뀌지 않습니다. 당연합니다. 우리 마음의 문제는 그렇게 명쾌하게 해결되지 않으니까요. 먼 시간이 지나서, 그때를 회상했을 때쯤에야 ‘이만큼 바뀌었구나’라고 생각할 뿐입니다.

영혼의 파동과 상실은 나와 분리되지 않은 내면에서 일어납니다. 그럴 때면 하루키의 화자들이 그랬던 것처럼, 천천히 감정을 더듬어보는 것이 어떨까요? 천천히 나의 마음속으로 잠식해, 나도 몰랐던 이세계로 ‘전이’하면, 어느 순간 현실을 받아들일 용기가 생길지도 모릅니다.


Picture of 지정현

지정현

새삼스러운 발견과 무해한 유쾌함을 좋아하는 사람.
보고, 듣고, 느낀 예술을 글로 녹여냅니다.

에디터의 아티클 더 보기


문화예술 전문 플랫폼과 협업하고 싶다면

지금 ANTIEGG 제휴소개서를 확인해 보세요!

– 위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 저작물로 ANTIEGG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 위 콘텐츠의 사전 동의 없는 2차 가공 및 영리적인 이용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