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를 넘나드는
박신양의 예술 세계 『제4의 벽』

배우이자 화가 박신양의
나이테 같은 그림 이야기
Edited by

‘제4의 벽’은 연극에서 무대와 관객석을 구분하는 가상의 벽을 말합니다. 배우와 관객은 보이지 않는 경계를 둔 채 서로의 표현을 나누고 느끼지요. 여기, 이 벽에 대해 누구보다 치열하게 고민한 예술가 한 명이 있습니다. 우리에게 배우로도 잘 알려진 화가 박신양인데요. 그는 제4의 벽이 곧 상상의 시작점이라고 말합니다. 그리곤 각자의 벽을 끊임없이 마주하며 자유로이 넘나들 때, 우리는 비로소 ‘감동’할 수 있다고 하죠. 책 『제4의 벽』에서 그는 직접 그린 그림을 통해 자신의 고유하지만 유연한 벽을 드러냅니다. 그가 고독 안에서 사유한 흔적이 진득이 묻은 벽 너머를 이제 들여다보려 합니다.


화가, 박신양

박신양
이미지 출처: 노블레스닷컴

드라마 <파리의 연인>에서부터 <싸인>까지, 박신양의 연기는 언제나 뇌리에 강렬하게 남았습니다. 캐릭터와 배우를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그가 내뱉는 대사와 눈빛에는 분명한 의식이 담겨있었죠. 어릴 적 본 영화 한 편으로 배우가 될 결심을 한 그는, 또 한 편의 그림을 통해 경이를 느낍니다. 이 우주에 오직 그림과 자신만 존재하는 것 같았던 그 순간을 두고두고 기억하다 한순간 붓을 들었습니다.

『제4의 벽』에는 화가 박신양이 10여 년간 그려 온 그림 131점과 함께, 그의 작가노트를 그대로 옮겨 온 것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내밀한 기록이 담겨 있습니다. 박신양의 그림은 어느 하나 쉽게 그려진 것이 없습니다. 그의 이야기를 듣고 있자면 심연이 깊다 못해 그림으로 토해낸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이 책은 ‘화가 박신양’에 대한 궁금증으로 펼쳤다가 박신양이라는 한 인간이자 예술가에 대한 존경으로 덮게 됩니다. 예술가가 길을 찾아내고 짐을 짊어지는 여정을 “창자가 밖으로 나온 채 한없이 이어진 뜨거운 아스팔트 위를 기어서 어딘가를 향해 가는 것”에 비유한 그를 이해할 수밖에 없을 겁니다.


나이테를 닮은 그림들

박신양, “당나귀13”, 2017
박신양, “당나귀13”, 2017, 이미지 출처: 중앙일보(mM아트센터)

박신양의 그림에는 연작이 많습니다. “춤 10”, “당나귀 24”처럼요. 번호가 매겨진 몇 개의 작품이 한 해에 그려지기도, 여러 해에 걸쳐 그려진 것들도 있죠. 꼭 나무의 나이테와 닮아있습니다. 계절에 따라 생장의 속도가 달라 만들어지는 나이테는 인내와 성장의 산물이기도 합니다. 그의 그림에도 대상에 대한 끈질긴 사색이 담겨 있습니다. 스물 네장, 어쩌면 그보다 더 많이 그려졌을지도 모를 “당나귀”에게서 과거와 달라진 현재의 감정을 그냥 흘려보낼 수 없는 화가의 예술철학이 느껴집니다.

박신양, “사과 2”, 2022
박신양, “사과 2”, 2022, 이미지 출처: 중앙일보(mM아트센터)

미술 시간이면 정물화의 단골손님으로 등장하는 과일인 사과도 예외는 아닙니다. 그는 초록빛의 사과부터 새빨간 사과, 빛바랜 보라색으로 둘러싸인 사과까지 다채로운 사과의 면면을 그렸습니다. 그는 초등학생 때 사과를 그렸다가 크게 혼난 이후로 40년간 사과를 그리지 못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시간이 흘러 소중한 사람에게 사과 두 알을 선물 받았을 때, 그 감동을 붙잡아 두고 싶어 사과를 그려냅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렀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a)는 시 구절처럼, 사과가 화가에게 진정한 의미를 갖게 된 순간 비로소 그림으로 탄생할 수 있었던 것이지요. 박신양은 이렇게 깨달음의 반복을 통해 자신의 세계를 확장하는 문을 엽니다.

한편, 그림을 그리는 일은 화가가 자신을 찾는 여정이기도 합니다.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물음표는 언제나 그의 곁에 머물러 있었습니다. 배우이기도 한 그는 필연적으로 여러 개의 자아를 경험하게 됩니다. 누구보다 진심으로 연기하는 배우이기에, 수반되는 혼돈은 일상적이었을 것입니다. 우리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어떤 상황에 놓이는지에 따라, 누굴 만나는지에 따라 다양한 자아와 맞닥뜨리게 되죠. 그중 무엇이 진짜 나일까를 생각하다 보면 영원히 풀리지 않을 숙제처럼 느껴집니다. 그는 숙고 끝에 아주 명쾌한 대답을 내놓습니다. 필자는 그 답변에 큰 위안을 얻었는데요. 책을 읽다 보면, 완벽한 타인인 그의 사유를 따라가다가도 결국 나와 만나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철학자의 시점으로

제 4의 벽
이미지 출처: 민음사
제 4의 벽
이미지 출처: 민음사

『제4의 벽』이 흥미로운 이유 중 하나는, 각 장마다 박신양의 그림과 이야기 뒤로 철학자 김동훈의 시선이 이어진다는 점입니다. 주로 일상과 예술에서 인문적 가치를 읽어내는 작업을 하는 그는 박신양의 작품세계를 제삼자의 눈으로 섬세하게 읽습니다. 그는 박신양을 구상과 추상의 융합으로 일반 회화의 규칙을 변형한 화가이자, 연극 공연의 실재성을 회화에 도입한 도전적인 예술가로 평가합니다. 그러면서도 “언어와 표현이 궁핍한 이 시대에 저승을 향해 나아가는 제사장”이라며 인간적인 찬미도 아끼지 않습니다.

후반부에는 김동훈이 전면으로 나서 ‘제4의 벽’이라는 개념에 대한 자신만의 철학적 해석을 풀어내기도 하는데요. 지식과 통찰을 넘나드는 그의 해설은 예술이 낯설게 느껴지는 독자에게 든든한 교량이 되어줍니다. 날실과 씨실처럼 엮여 밀도를 더해가는 두 사람의 이야기 속에서, 예술과 철학은 결국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새삼 느낄 수 있습니다.


『제4의 벽』 구매 페이지
INSTAGRAM : @minumsa_books


박신양은 “예술가의 표현이 단지 표현해 내는 것에 그치지 않고, 누군가의 영혼에 가닿아야만 한다”고 말합니다. 그렇다면 『제4의 벽』은 그 자체로 표현입니다. 두 사람이 만나 그리는 세계가 너무도 넓고 깊어, 독자의 내면 깊숙한 곳까지 닿지 않을 수 없습니다. 『제4의 벽』에 실린 박신양의 그림들은 오는 4월 30일까지, mM ArtCenter에서 전시로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공연의 개념으로만 여겨졌던 ‘제4의 벽’이 전시장으로 옮겨갔을 때, 예술가와 관람자는 또 어떻게 교감할 수 있을지 궁금해집니다.


Picture of 탁유림

탁유림

아무래도 좋을 것들을 찾아 모으는 사람.
고이고 싶지 않아 잔물결을 만듭니다.

에디터의 아티클 더 보기


문화예술 전문 플랫폼과 협업하고 싶다면

지금 ANTIEGG 제휴소개서를 확인해 보세요!

– 위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 저작물로 ANTIEGG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 위 콘텐츠의 사전 동의 없는 2차 가공 및 영리적인 이용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