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Close this search box.

평범한 벽돌은
예술이 될 수 있는가

예술가와 미술노동자
무엇이 예술에 값을 매기는가
Edited by

1972년 영국의 테이트 갤러리는 한 무더기의 벽돌을 구매했다. 무려 6,000달러어치의 벽돌을. 대체 얼마나 많은 벽돌을 샀기에, 어떤 벽돌을 샀기에 (순금으로 만든 벽돌일까?) 당시 벽돌공 한 명의 연봉에 달하는 금액을 지급한 것일까? 런던 시민들은 1974년 드디어 그 값비싼 벽돌 무더기를 관람할 수 있었고, 이윽고 엄청난 분노에 휩싸였다. 6,000달러 벽돌은 그야말로 벽돌 무더기로, 어느 것 하나 특별하지 않은 잘 쌓인 120개의 내화벽돌이었기 때문이다. 수많은 언론이 작품을 물어뜯는 조롱과 풍자를 줄줄이 찍어냈고, 심지어 한 분노에 찬 셰프는 식용 색소를 작품 위에 냅다 던져버리기도 했다. 당시 기사들의 주요 풍자는 벽돌공과 칼 안드레(Carl Andre), 그리고 그들의 노동과 작품을 비교하는 것으로, 덕분에 그 당시 런던의 벽돌공들은 작은 벽돌담을 쌓아 올리고 사진을 한 번 찍으면 신문사에서 짭짤한 돈을 받아 챙길 수 있었다.

칼 안드레, “Equivalent VIII”, 1966, 120 Firebricks, 5 x 27 x 90 ¼ inches, 테이트 미술관
칼 안드레, “Equivalent VIII”, 1966, 120 Firebricks, 5 x 27 x 90 ¼ inches, 테이트 미술관

1) 예술은 노동인가

그림보는 사람 뒷모습
이미지 출처: Unsplash

여기에서 우리는 사람들의 머릿속에 들어있는 미술의 가치를 엿볼 수 있다. 적어도 1970년대 영국의 대중들에게 미술이 무엇이었는지 알 수 있다. 그들에게 벽돌과 벽돌 쌓기는 예술이 될 수 없다. 노동은 실용적 목적을 위한 것이고, 예술은 노동보다(특히 벽돌을 쌓는 것과는 완전히 다른) 우아하고, 고상하며, 창조되는 데에 특별한 재능이 필요한 것이다. 그러므로 벽돌공은 예술가가 될 수 없고, 예술가 또한 벽돌공이 되어서는 안 된다. 노동자는 비록 고상하진 않을지언정 우리 생활에 필요한 것을 제공하며 사회의 일부를 구성하는 일원인 데 비해, 예술가는 거대한 캔버스 위에 신이 내린 영감을 재구성하며 갤러리를 배회하는 인물이다. 이러한 사람들의 태도는 사실 1970년대 런던뿐 아니라 2022년에도 이어져 내려오는 것으로, 여전히 노동자로서의 미술가는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듯하다. 미술작품에 들어간 노동에 대해서는 감탄할 수 있을지언정, 미술가는 여전히 노동자는 아니다. 심지어 제작에 예술가의 노동이 들어가지 않은 레디메이드 작품의 경우 사람들에게 더욱 극렬한 반감을 끌어내는 듯하다. 그들의 시각에서 일반 노동자도 할 수 있는 단순한 작업에 미술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6,000달러를 받아 챙기는 예술가는 자신의 의무를 내버린 일종의 사기꾼이다. 우리 집의 담을 쌓아주기 위해 순수하게 땀을 흘리는 정직한 노동자를 우롱하는 사기꾼 말이다.


2) 미술작품에 값어치를 매기는 기준은 무엇인가?

미술작품이 걸려있는 방
이미지 출처: Unsplash

더욱 극단적인 시선으로 바라보자면 미술은 부르주아 계급의 탐욕을 채워주는 값비싼 명품 쇼룸이나, 미슐랭 레스토랑과 같은 허영의 시장(Vanity Fair)일지도 모른다. 칼 안드레는 1976년 ‘지배계급이 미술과 미술인을 프롤레타리아로 만든다’고 주장했으나 일반 대중의 공감을 얻기는 매우 어려웠다. 사실, 현대에 이르러 미술에 값을 매기는 일은 꽤 어려워졌다. 아마도 미술이 자본주의 시장경제에 이렇게나 내던져진 것은 전례가 없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후원자, 즉 미리 값을 치르고 작품을 받아 가는 사람이 미술 거래를 주도했던 시대에서 벗어나, 만들어진 미술작품을 경매에 부치고 수집가들이 사들이는 것은 근대에 와서야 등장한 방식이다. 근대 이전 작가들은 후원자들에게 종속되어있었으며, 사실상 수주 노동자였다. 사용된 재료의 값어치와 작품의 크기 같은 유물론적 가치가 퇴색된 이후에도 작가들은 후원자에게 끊임없이 제약받았고, 자기 기술과 천재성으로 작품의 가치를 인정받아야만 했다. 사실상 부유한 후원자의 총애를 입지 못한 작가는 작품 활동을 하는 것이, 또 생계를 유지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했다.


3) 기술과 아이디어, 무엇이 가치 있는가

테이트 브리튼 미술관 외관
이미지 출처: Unsplash

그러나 이제 미술 시장은 자본주의 경쟁의 일부로 편입되었고, 예술가 자신이 스스로 작품의 가치를 제시하는 일 역시 벌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그 가치를 평가하고 ‘돈을 내어주는’ 역할은 여전히 극소수의 일이다(테이트가 칼 안드레의 작품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국민투표를 거치지 않았듯). 이 배타적 과정에서 우리는 다시 예술의 가치, 특히 환금성을 평가하는 일에 예민해지게 되었다. 신자유주의 경쟁 체제 아래 우리는 우리를 설득하지 못하는 일에 돈이 흘러 들어가는 것을 혐오하기 때문에. 이 논란을 종식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모두 이 질문을 진지하게 고민해야만 한다. 무엇이 예술을 가치 있게 하는가? 예술에 내제된 노동과 기술인가, 아니면 새로운 ‘아이디어’인가.


최근 유수의 박물관에서 미술품에 대한 테러가 끊이지 않고 있다. 런던 내셔널 갤러리가 소장한 반 고흐의 해바라기가 환경 단체 활동가들에 의해 또 토마토 세례를 당했다고 한다. 화이트 큐브 속에 들어있는 ‘명작’이 현실의 문제에서 사람들의 눈을 돌리게 하는 세이렌이라는 생각이 여전히 사회를 떠돌고 있는 듯하다. 미술이 자본과 연관이 없는, 순수한 창작의 발현이라는 말은 하지 않겠다. 다만 오히려 우리가 미술에 관심을 기울이고 그 가치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이어갈 때, 미술이 소수에게만 허락된 사치가 아니라, 우리 모두가 누릴 수 있는 문화로 기능할 수 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때로는 현실(더 정확하게는 우리가 현실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직시하는 것보다 현실을 반영하는 창조적인 세계를 곱씹을 때 우리가 어떤 행동을 해야 할지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

  • 줄리아 브라이언 윌슨, <미술노동자 급진적 실천과 딜레마>, 신현진 역, 열화당, 2021.

유진

유진

예술과 사회, 그 불가분의 관계를 보고 기록하고 탐구합니다.

에디터의 아티클 더 보기


아픈 가족을 돌보는 바쁜 청년들

가족돌봄청년에게 스파르타코딩클럽이 대신 기부합니다

– 위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 저작물로 ANTIEGG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 위 콘텐츠의 사전 동의 없는 2차 가공 및 영리적인 이용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