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약하고 서툰
한 시절을 그린 영화

루카스 돈트 감독
클로즈 의 신체적 연출
Edited by

‘나는 내 속에서 스스로 솟아나는 것, 바로 그것을 살아보려 했다. 그것이 왜 그토록 어려웠을까?’ 헤르만 헤세 『데미안』의 문장입니다. 우리가 살아가고자 하는 삶과 관계를 지켜나가기란 왜이리 어려운걸까요? 타인의 시선과 세상의 잣대로 휘청이는 우리를 보며, 어쩌면 인간이란 매우 유약하고 예민한 존재라는 생각이 듭니다. 하물며 우리의 어린 시절은 어떠한가요. 루카스 돈트 감독의 <클로즈>는 어린 날 처음으로 마주한 타인의 시선에서 비롯된 상처와 예민한 감정들을 세밀히 보여줍니다.

*본 글은 영화 <클로즈>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올해 개봉한 <클로즈>는 루카스 돈트 감독의 두번째 장편 영화입니다. 루카스 돈트 감독은 전작 <걸>로 영화계의 큰 주목을 받았었는데요. <클로즈> 또한 <걸>과 마찬가지로 그의 내밀하고 개인적인 어린 시절을 담았습니다. <걸>에서 성 정체성으로 혼란스러웠던 어린 시절을 보여주었다면, <클로즈>에는 또래 집단 내에서 소속감 없이 불안했던 어린 시절을 담았습니다. 또한 <클로즈>에서도 루카스 돈트 감독만의 인물의 신체적 연출 방식을 영화 곳곳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클로즈(Close)

클로즈(Close)
이미지 출처: IMDb

영화의 제목 ‘클로즈’에는 두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타인을 향한 가까운(close) 마음. 그리고 타인을 향한 닫힌(close) 마음. 영화 <클로즈>는 이처럼 ‘가깝다’와 ‘닫다’ 양단의 의미를 엮어 어린 시절의 ‘관계’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영화에는 깊은 우정을 지닌 레오와 레미가 등장하는데요. 가족처럼 친한 사이인 둘은 함께 학교에 진학하면서 아이들의 냉담한 시선과 조롱 섞인 놀림을 받게 됩니다. 결국 주인공 레오는 남성성을 규정하는 사회적 가치관과 타인의 시선에 의해 레미를 멀리하게 되고, 끝내 레미를 잃는 상실의 아픔을 겪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관객은 주인공 레오의 시선과 감각, 감정을 따라가며 나약하고 서툰 그 시절을 고스란히 경험하게 됩니다.


레오와 레미

<클로즈> 레오와 레미
이미지 출처: IMDb

<걸>과 마찬가지로 <클로즈> 또한 어두운 화면 속 주인공의 목소리로 영화가 시작됩니다. 관객을 인물에게 몰입시키는 능력이 탁월한 루카스 돈트의 오프닝 방식인데요. 이렇게 시작된 영화는 관객을 레오와 레미의 세계로 끌어들입니다. 아이들은 함께 동굴에서 속삭이고, 꽃밭을 뛰어다니고, 악기를 연주합니다. 이때 레오와 레미가 함께 침대에서 잠드는 장면이 나오는데요. 레오는 잠들지 못 하는 레미에게 ‘레미를 닮은 특별한 아기오리’가 나오는 동화를 들려줍니다. 그 어떤 세상의 시선과 불순물도 존재하지 않는 아이들의 맑은 사랑이 느껴지는 장면입니다. 이때 우리는 레오와 레미의 신체적 거리감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특히 침대에서 서로를 끌어안은 채 잠을 자고, 누워서 대화를 하는 동안에는 서로가 서로에게 겹쳐진 채 매우 가깝게 촬영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오프닝 내내 대부분 단독샷이 아닌 둘이 함께 화면에 담겨, 초반부엔 주인공이 누군지 알기 힘들 정도입니다.

<클로즈> 레오와 레미
이미지 출처: IMDb

레오와 레미가 중학교에 입학하면서 이 무결한 관계에 균열이 생깁니다. 둘은 동급생 아이들로부터 연인으로 의심을 받고 놀림을 당하는데요. 레오와 레미의 멀어지는 거리감은 첫 등교 장면부터 알 수 있습니다. 롱샷 (넓은 화면) 으로 촬영된 둘은 함께 손을 잡고 등교를 하지만, 둘 사이를 비집고 들어오는 선생님과 학생 무리, 타인에 의해 둘은 손을 놓쳐 멀어지고 맙니다. 이처럼 레오는 타인을 의식하여 레미를 멀리하게 되고, 이들의 변화는 신체적 거리감으로 묘사됩니다. 그렇기에 점점 주인공 레오 혼자 화면에 담기고, 둘 사이에 장애물과 벽이 갈라서며, 침대 또한 오프닝과 달리 각자의 침대로 분리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레오의 공간

<클로즈> 레오의 공간 - 하키장
이미지 출처: IMDb

레미와 멀어진 레오가 도달한 곳은 ‘하키장’입니다. 레오는 남성 친구들을 따라 하키장에 가서 몸을 부딪히고 뛰어다니는데요. 객석을 갈라놓은 유리벽은 하키장에 놀러온 레미와 레오의 관계를 단절시킵니다. 갑옷처럼 레오를 감싼 하키 유니폼은 마치 사회가 정한 남성성의 겉모습처럼 보이며, 동시에 레오 본연의 모습을 숨기고 가둔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학교와 하키장이 레오와 레미를 분리시킨 사회적 공간이라면 영화 초반부의 유토피아와 같던 꽃밭은 어떠한가요.

<클로즈> 레오의 공간 - 꽃밭
이미지 출처: IMDb

차갑고 딱딱한 아이스하키장과 달리, 다채롭고 바람에도 흔들리는 꽃밭은 아이들의 연약함을 의미합니다. 이 다채로운 꽃밭이 계절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유년 시절 쉽게 자극 받고 예민하게 변화하는 아이들의 내면과 같습니다. 가을이 되자 레오의 가족이 꽃밭을 재초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화사한 색감이 사라지고 갈색과 검은색의 공허한 밭의 변화는 레미를 잃고 슬퍼하는 레오의 감정과 같기도 합니다.


레오의 몸짓

앉아 있는 레오
이미지 출처: IMDb

레미가 죽고 난 후 레오는 울지 않습니다. 여전히 학교에 가고, 친구들과 뛰어놀며, 아이스 하키장에 나가는데요. 레오는 정말 아무렇지 않은 걸까요? 영화는 레오의 슬픔과 상처, 죄책감에 대해 ‘레오의 몸’을 매개로 관객에게 전달합니다. 레미의 장례식 장면에서 담담한 레오를 가운데에 두고 동급생들과 어른들이 양 옆을 가득 채웁니다. 이처럼 타인에게 갇힌 레오의 모습에서 타인의 시선과 사회의 기준으로 레미를 외면했던 레오의 상처가 느껴지는 장면입니다. 쏟아붓는 비를 맞고, 하키장에서 차가운 벽과 바닥에 수없이 몸을 부딪히는 장면 또한 레오의 슬픔을 느낄 수 있습니다. 우리는 어른이기에 레오의 마음을 조금은 헤아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레오는 자신이 어떤 기분인지. 슬픈지 죄책감이 드는지 전혀 알지 못 하는데요. 그저 답답하고 힘든, 알 수 없는 기분에 몸부림치는 레오의 모습을 통해 저절로 서툴었던 우리의 어린시절이 떠오릅니다.


겨울이 지나 꽃을 심으면 꽃들은 다시 피어납니다. 타인에 의해 흔들리고, 상처 받은 아이들은 다시 피는 꽃처럼 계속해서 삶을 살아가는데요. 성인이 된 우리는 그 시절이 얼마나 나약했으며, 우리의 잘못이 아닌 수많은 것들로 인해 상처 받았음을 알게 됩니다. 아이들은 환경과 경험으로 성장해 끝내 어른이 됩니다. 과연 레오는 어떤 어른이 될까요? 아이들에게 정해진 남성성과 여성성, 더 나아가서 사회의 옳고 그름의 답안을 내어주는 것이 과연 맞을까요? 자신의 아름다움을 숨긴 채 세상에 맞춰 살아가고 있는 아이들과 어른들이 상처 받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으로 <클로즈>를 추천드립니다.


Picture of 김유빈

김유빈

사랑과 경탄을 담아, 성실한 사유를 이끄는 글을 쓰고 싶습니다.

에디터의 아티클 더 보기


문화예술 전문 플랫폼과 협업하고 싶다면

지금 ANTIEGG 제휴소개서를 확인해 보세요!

– 위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 저작물로 ANTIEGG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 위 콘텐츠의 사전 동의 없는 2차 가공 및 영리적인 이용을 금합니다.